티스토리 뷰

되'와 '돼'는 한국어에서 자주 헷갈리는 맞춤법 중 하나입니다. 이 둘의 올바른 사용법을 구분하는 것은 문장을 명확하게 전달하는 데 중요합니다. '되'는 '되다'의 활용 형태로, 주로 동작이나 상태의 변화를 나타낼 때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일이 잘 되다"와 같은 문장에서 사용됩니다. 반면, '돼'는 '되다'의 줄임말로, 주로 '되어'의 줄임말로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일이 잘 되어"의 형태에서 '돼'로 줄여서 사용됩니다. 이를 통해 '돼'는 항상 '돼요', '돼서', '돼야' 등의 형태로 쓰입니다. 문장의 흐름이 자연스럽게 이어지는지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러한 구분을 통해 '되'와 '돼'를 정확히 사용하여 문장의 의미를 명확하게 전달할 수 있습니다.

'되', '돼' 헷갈리는 맞춤방법 알아봅시다.

 

1. "돼"는 "되다"에서 줄어든 말이다

“돼”는 "되다" + 어미가 줄어든 형태입니다. 즉, "되다"에 "-어", "-었어", "-어라" 등이 붙어서 줄어들었을 때, "돼" 형태가 됩니다. 따라서 **어떤 말이 "되다"의 변형으로 사용된다면 "돼"**가 맞습니다.

방법: "되다"로 바꿔보세요
• 문장에서 "돼" 자리에 "되다"를 넣었을 때 자연스럽다면 "돼"를 쓰는 것이 맞습니다.

 

예시
1. "이제 다 돼 간다." → "이제 다 되다 간다." (자연스러움) → “돼”
2. "이 일이 잘 돼야 할 텐데." → "이 일이 잘 되다야 할 텐데." (자연스러움) → “돼”
3. "안 돼!" → "안 되다!" (자연스러움) → “돼”

 

 

 

 

 

'되', '돼' 헷갈리는 맞춤방법 알아봅시다.

 

2. 어미가 붙지 않고 "되다" 그 자체로 쓰일 때는 "되"

어미가 붙지 않은 기본형 "되다"는 "되" 형태로 남습니다. 어미가 생략된 상태로 단어 자체가 "되다"일 경우 "되"가 맞습니다.

예시


1. "이게 될까?" → 어미가 없고 "되다"라는 동사가 그대로 쓰였으므로 “되”
2. "좋은 일이 되길 바래." → "되다" 자체가 사용된 것이므로 “되”
3. "될 거야." → 기본형 "되다"에 어미가 붙지 않은 형태이므로 “되”

 

 

3. 자주 틀리는 상황별 예문

아래는 실제로 자주 틀리는 예문을 상황에 맞게 정리해 봤습니다.

(1) 상황: 무언가가 이루어지거나 가능하다는 의미일 때
"잘 돼야지." → “잘 되어야지”의 줄임말이므로 “돼”
"안 돼!" → “안 되어!”의 줄임말이므로 “돼”
"이게 돼?" → “이게 되어?”의 줄임말이므로 “돼”

 

(2) 상황: "될 수 있다"처럼 "될" 형태로 쓰이는 경우
"될 수 있어." → "될"은 “되다” 자체의 의미로 쓰이므로 어미가 줄어들지 않았습니다. “되”
"될 것 같아." → 어미가 줄어들지 않았으므로 “되”

 

(3) 상황: "되다"와 관련 없는 단어일 때

"되돌아가다" → "되다"의 의미가 아니므로 “되”
"되풀이하다" → "되다"와 관계없는 단어이므로 “되”

 

(4) “되어라”와 “돼라”처럼 줄임 여부가 헷갈릴 때
"잘 되어라" : 문장에서 "되어라"는 줄임말이 아니므로 "되"
"잘 돼라" : "되어라"가 줄어든 형태이므로 "돼"

 

'되', '돼' 헷갈리는 맞춤방법 알아봅시다.

4. 간단한 요약 - ‘돼/되’ 구분법 공식

1. “되다”로 바꿔서 자연스러우면 → “돼”
    예) 잘 돼야지, 안 돼, 잘 되었다 (→ 잘 되다의 변형)

2. “되다” 자체로 쓰일 때나 어미가 줄어들지 않으면 → “되”
   예) 될 수 있다, 될 거야, 되돌아가다, 되풀이하다 (→ "되다" 그대로 쓰인 경우)

 

 

'되'와 '돼' 구분 Q&A

Q : '되'와 '돼'는 어떻게 구분하나요? 

A : '되'는 '되다'의 기본 형태로, 동작이나 상태의 변화를 나타낼 때 사용됩니다. '돼'는 '되다'의 줄임말로, '되어'의 줄임 형태로 주로 사용됩니다.

Q : '되'는 어떤 경우에 사용하나요? 

A : '되'는 주로 동작이나 상태의 변화를 나타낼 때 사용됩니다. 

 

예시

 

• 일이 잘 되다 (일이 잘 이루어지다)

•  친구가 되다 (친구가 생기다)

•  꿈이 되다 (꿈이 현실이 되다)

Q : '돼'는 어떤 경우에 사용하나요? 

A : '돼'는 '되어'의 줄임말로 사용됩니다. 

 

예시

 

•  일이 잘 되어 -> 일이 잘

•  그렇게 되어서 좋았어요 -> 그렇게 돼서 좋았어요

Q : '되'와 '돼'를 구분하는 팁이 있나요? 

A : 문장을 '되어'로 바꿔서 자연스럽게 이어지는지 확인해보세요. 자연스럽다면 '돼'를 사용하고, 그렇지 않다면 '되'를 사용하세요.

 

상황별 구분


Q : 이 문제가 잘 풀리게 되다 / 돼다 중 어떤 것을 사용하나요? 

A : '이 문제가 잘 풀리게 되다'가 맞습니다. 여기서 '되다'는 동작의 변화를 나타내기 때문입니다.

Q : 그 일이 생각한 대로 되었어요 / 돼었어요 중 어떤 것을 사용하나요? 

A : '그 일이 생각한 대로 되었어요'가 맞습니다. 여기서 '되다'는 상태의 변화를 나타내기 때문입니다.

Q : 일이 잘 되어요 / 돼요 중 어떤 것을 사용하나요? 

A : '일이 잘 돼요'가 맞습니다. 여기서 '되어요'의 줄임말'돼요'를 사용합니다.

Q : 그는 결국 성공하게 되었어요 / 돼었어요 중 어떤 것을 사용하나요? 

A : '그는 결국 성공하게 되었어요'가 맞습니다. 여기서 '되다'는 결과적으로 상태의 변화를 나타냅니다.

Q : 그렇게 되어서 / 돼서 너무 기뻐요 중 어떤 것을 사용하나요? 

A : '그렇게 돼서 너무 기뻐요'가 맞습니다. 여기서 '되어서'의 줄임말로 '돼서'를 사용합니다.